거름 만들기
거름을 만들 때에는 탄소 대 질소 비율(탄질비) 조절이 중요하다. 탄소질은 수분이 적은 마른풀 같은 것에 많고 질소질은 수분이 많은 인분이나 축분, 소변, 음식물찌꺼기 등에 많다. 그래서 퇴비 만들기에서는 수분의 비율이 매우 중요한데, 수분이 40% 이하면 건조하여 발효가 늦어지고 60% 이상이면 습해서 공기의 공급을 방해하여 발효보다는 부패작용이 커지게 된다. 퇴비가 발효가 아니라 부패가 되면 비료 효과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악취도 나고 파리나 구더기 같은 벌레가 끼며 해로운 병해충의 발생을 촉진한다.탄소질은 미생물에게 서식처와 산소를 제공해주고, 질소질은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주기 때문에 둘은 항상 적절히 조화되어야 한다. 그래서 거름 만들기의 요령은 물기를 잘 조절해주는 것에 있는데, 음식물찌꺼기나 인분, 축분, 소변 등에는 수분이 많으므로 톱밥이나 대패밥, 볏짚, 왕겨, 재, 부엽토 등으로 물기를 낮춰주고, 낙엽이나 마른풀 등에는 소변이나 음식물찌꺼기 등을 섞어주어 물기를 보충해주어야 한다. 이런 원리에 따라 거름을 만들 때에는 탄소질이 많은 층과 질소질이 많은 층을 켜켜이 쌓아간다.
퇴비를 이렇게 쌓을 때에는 우선 밑바닥은 공기가 잘 통하도록 마른풀 등을 깔아주고, 퇴비 더미에 빗물이 침투해 들어가지 않도록 둘레에 홈을 파주거나 조금 높은 곳에다 쌓는다. 그리고 퇴비를 켜켜이 다 쌓은 다음에는 맨 위층에는 탄소질이 많은 풀 등으로 덮고, 위에다 거적이나 불투명 비닐 등을 덮어 햇빛과 빗물의 피해로부터 보호를 해준다.
거름을 켜켜이 쌓을 때에는 물기 있는 질소질 비료를 많이 쌓더라도 적당히 물을 공급해주는 게 좋은데, 손으로 만져보았을 때 축축한 느낌이 들 정도가 좋다. 이렇게 쌓아두면 더운 여름날에서는 3주나 한 달 정도면 발효가 되는데, 퇴비 더미에 발효열이 60도 정도로 올라 거적을 거둬보면 김이 모락모락 날 정도다. 봄가을에는 한두 달 정도, 겨울철에는 그 이상 지나야 발효가 된다. 발효열은 살균 작용도 하고 퇴비에 전체적으로 발효 효과를 골고루 퍼지게 한다. 이때쯤 되어서 퇴비 더미를 뒤적거려주는 게 좋은데, 안쪽 것은 바깥 쪽으로 바깥 것은 안쪽으로 섞어준다.
주말농장과 같이 몇 평 되지 않는 조그만 텃밭에선 퇴비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밭 한쪽 귀퉁이에다 구덩이를 파고 그 위에다 같은 방법으로 쌓는 것도 괜찮다. 주말농장이라면 주로 음식물찌꺼기가 많을 텐데, 탄소질 거름으로 주변의 마른풀이나 정 구하기 힘들면 집의 신문지를 모아 찢어서 쌓아주면 된다.
맨바닥에 켜켜이 쌓아 비닐 덮개를 씌우면 제일 간단히 퇴비 쌓기가 된다.
나무 상자를 이용한 퇴비 쌓기
적은 양의 퇴비 쌓기는 흙 구덩이를 이용하는 게 제일 간단하다.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퇴비 만들기에서는 몇 가지 조심할 것이 있는데, 고깃덩어리나 음식물 국물이 그것이다. 고깃덩어리는 구더기나 파리, 들쥐를 꼬이게 할 수 있어 좋지 않고, 김치 같은 음식물 국물은 염분이 많아 발효를 늦게 하기 때문이다. 가능하면 고깃덩어리는 잘게 쪼개넣으면 좋은데, 여의치 않으면 재를 듬뿍 쳐주고, 국물은 가급적 제거하고 넣어준다.
그러나 텃밭농사(주말농사)를 할 사람에게 질소질이 많은 퇴비 재료를 구하기란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니다. 음식물찌꺼기는 사실 버리기 힘들어 퇴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지, 그것으로 양을 충분히 확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제일 좋은 것은 인분과 축분인데 전문 농사꾼이 아니고서는 이 또한 여의치가 않다.
텃밭농사에서 가장 구하기 쉽고 다루기 쉬운 것은 아마 깻묵일 듯하다. 참깨나 들깨를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인 깻묵은 질소질 비료로는 훌륭한 재료 중에 하나다. 인분이나 축분은 병해충이 꼬일 가능성이 많고, 축분 중에 소똥은 풀씨가 많아 풀이 많이 자라게 되고, 돈분이나 계분은 비료 효과가 크지만 오래 쓰면 땅을 산성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깻묵은 열을 가한 것이라 일차 살균이 되어 있고, 풀씨도 없을 뿐만 아니라 다루기도 쉬운 장점을 갖고 있다. 단점이라면 깻묵덩어리를 부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고, 많은 양을 구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텃밭농사에서는 오히려 적합할 수 있다.
깻묵 또한 질소질이 많아 병해충이 낄 수 있기 때문에 앞의 방법대로 발효시키는 것이 좋은데, 일단 뜨거운 열로 처리된 것이라 물기가 없으니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주어야 한다. 거름을 직접 만들기가 어려우면 발효된 퇴비를 종묘상에서 돈분, 계분과 톱밥을 섞어 충분히 발효시킨 퇴비를 사다 흙에 깔아주는 것도 손쉬운 방법이다. 20㎏ 짜리 한 포대에 4,000원 정도 하는데 대략 5평에서 10평까지 깔아줄 수 있다. 거름은 다음해에 쓸 것을 미리 늦가을에 만들어놓는 게 좋은데, 늦어도 밭 만들기 한 달 전에는 준비해두어야 한다. 그래야 충분히 숙성된 퇴비를 흙에 깔아줄 수 있다.
질소질 비료만이 아니라 인산 가리질 비료도 만들어 쓰면 좋다. 인산 가리질 비료는 작물의 목질부(열매 꼭지)를 튼튼하게 해주고 열매를 튼실하게 맺게 해주므로 작물이 꽃을 피워 생식성장을 할 때 웃거름으로 주면 좋다. 인산·가리질 비료가 풍부한 것 중 대표적인 것은 쌀겨인데, 질소질 비료를 만들 때처럼 쌀겨와 탄소질의 재료를 켜켜이 쌓는 식으로 만든다. 쌀겨는 굳이 발효시키지 않더라도 직접 작물에 뿌려주는 것도 괜찮다. 작물 주변으로 뿌려두면 풀의 발아를 막아주는 덮개 효과도 있을 뿐만 아니라 삭아서 작물에 필요한 인산 가리질 비료를 공급해준다. 발효시킨 것보다 속효성은 떨어지지만 덮개 효과도 거둘 수 있어 괜찮은 방법이다.
질소나 인산질 비료말고 중요한 비료 중에는 미량 요소 비료가 있다. 이는 앞에서 얘기했듯이 철이나 구리·망간·붕소 같은 무기물들인데, 아주 미량만 필요하지만, 이것들이 모자라면 작물이 병해충에 약하고 병이 잘 든다. 거름을 정성껏 골고루 만들어주면 이것들도 다 들어가 있지만 작물의 성장 상태를 보아가며 이것들이 결핍되어 병이 생기면 따로 종묘상에 가서 미량 요소를 사다 뿌려주면 좋다.
마지막으로 거름에 대해서 알아야 할 것은, 모든 작물이 다 거름이 많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참깨·콩·도라지·수수·조 같은 경우는 오히려 박토에서 잘 자라고, 이 중에 콩은 공기의 질소를 흙 속에 고정시키는 뿌리혹박테리아가 콩뿌리에서 살기 때문에 흙을 거름지게 해주는 고마운 작물 중에 하나다. 그래서 콩 같은 경우는 옛부터 논둑이나 밭둑에다 많이 심었고 따로 콩밭을 만든다면 거름을 많이 먹는 옥수수 같은 것을 콩밭 둘레에다 심었다. 웃거름에 대해서는 '가꾸기' 절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거름을 주는 양은 보통 질소질 비료를 기준으로 보면, 평당 3~5㎏ 정도 주면 된다. 인산·가리질 비료는 그것에 반이나 3분의 1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